: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정보를 주고 받는데 쓰이는 프로토콜 스택 TCP/IP 4계층 OSI 7계층 역할 PDU 예시 애플리케이션(응용) 계층 애플리케이션(응용) 계층 응용프로그램 사용 메시지 FTP, HTTP, SSH, SMTP, DNS등 프레젠테이션 계층 세션 계층 전송 계층 전송계층 송수신자 연결, 데이터 전달 세그먼트(TCP) 데이터그램(UDP) TCP, UDP 인터넷 계층 네트워크 계층 데이터 전달할 주소 지정 패킷 IP, ICMP, ARP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실질적 데이터 전달 프레임 LAN 물리 계층 비트 Ethernet 그 외 특징들 각 계층이 다른계층에 영향받지 X TCP, UDP 차이 TCP UDP 연결방식 연결형 서비스(연결 보장O) 3 way - handshake로 연결, ..

뮤텍스와 세마포어가 필요한 이유? : 여러 프로세스가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의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이다. 동시에 접근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할 수 있는 동기화 방식을 취한다. = 뮤텍스와 세마포어 임계구역이란? 여러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공유하며 수행될 때, 각 프로세스에서 공유 데이터을 접근하는 프로그램 코드 블록 뮤텍스(Mutex) : 임계 구역을 가진 스레드들의 실행시간이 서로 겹치지 않고 각각 단독으로 실행(Mutual Exclution)되게 하는 기술 Key 에 해당하는 어떤 오브젝트가 있으며 이 오브젝트를 소유한 프로세스/스레드만이 공유자원에 접근할 수 있다. 다중 프로세스들의 공유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조율하기 위해 동기..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을 쓰는 이유?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다수의 프로세스를 수용하기 위해 주기억장치를 동적으로 분할하는 메모리 관리작업 필요 메모리 관리: 연속적 메모리 할당 / 불연속적 메모리 할당 연속적 메모리 할당: 프로그램 전체가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할당 고정 분할 기법 주기억장치가 고정된 파티션으로 분할 현재사용X (내부 단편화 발생 : 고정크기에 비해 작은 메모리 사용) 장점: 구현이 간단하고 운영체제에 오버헤드가 거의 없음 단점: 내부 단편화, 최대 활성 프로세스 수가 고정됨 동적 분할 기법 파티션들이 동적 생성되면서 자신의 크기와 같은 파티션에 적재 (외부 단편화 발생: 메모리할당 해제시 빈공간 발생) 장점: 내부 단편화 없고 주기억장치 효율적 사용 가능 단점: 외부 단편화, 처리기 ..